내가 좋아하는 붇 전문가 중에 이상우님이 있다. 인사이트도 그렇지만, 솔직한 촌철살인 멘트가 좋다.
나도 그동안 인간지표(회사 지인들, 상사들 등등)에서 느끼던 것인데 어제 이상우님 유투버에서 토픽이 '방송인 장영란씨가 목동 살다가 갤러리아 포레 (수십억!!) 를 매입했다는 기사에서 시작해서, 목동 부자들인 강남을 보통 꺼리는 것 같다. 강남 제외하면 한남, 성수" 코멘트를 했다. 이상우님도 경험상 그렇단다.
TV를 전혀 안보는 나는 장영란이 누구인지도 몰랐음 ㅋ '목동맘'으로 불리는 분이란다. 50% 대출이시네. 임차인 없이 실거주하나보다. 와!!!! 실거주할 수 있다는 게 부럽다. ㅎㅎ
15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장씨는 지난 2월 배우자와 공동명의로 성수동 소재 '갤러리아 포레' 1가구를 94억5000만원에 매수했다. 전용면적은 218㎡다.
부동산 등기부등본상 해당 세대에는 채권최고액 57억680만원의 근저당이 설정됐다. 채권최고액이 통상 대출금의 120% 수준인 점을 고려하면 대출은 48억원 상당으로 추산된다 | 출처 :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61518150595715
그래서 나도 아파트 인사이트 관련해서는 궁금한 것은 못 참기에 좀 찾아봤다. ㅎㅎ
이상우님도 얘기했지만 대충 답은 알 것 같다. 연예인 등 유명인들이 강남아파트 대신 성수 한남 초고가 주택 사는 것은 워낙 많이 나오는 기사니까. 강남은 그들에게는 그냥 평범한 것이고 너무 대중적인 것인가 보다.
가볍게 읽어주시길. 대체 강남과 한남, 성수, 부자들에게 어떻게 다른 의미인지?
주 수요층 | 실거주+교육 | 고급 외국인층+문화계 | 젊은 부유층+연예인 |
규제 강도 | 매우 높음 | 높음 (한남3구역 등 재개발 규제) | 중간 (준공업지역 해제 등 변화 기대) |
변화 가능성 | 제한적 (재건축 진행 중) | 리빌딩+리모델링 | 재개발·준공업지 전환 |
프리미엄 형성 | 안정적 | 브랜드성 프리미엄 강함 | 트렌디 프리미엄 & 미래 기대감 |
거주 특성 | 안정·실거주 | 상징성·개성 | 신흥 고급화 |
구분 | 2015년 대장단지 시세 | 2025년 시세 | 시세 상승률 |
강남 대장 아파트 | 약 9억 원 | 24.3억 원 | +170% |
갤러리아포레 | –2011년 분양가 기준 대략 20억대 추정 | 100억 원 실거래 | 거래가 별로 없어서인지 정확한 계산 어려움 |
한남더힐 | –2009년 분양 당시 고가 | 2020년~2025년간 84 ~ 110억 원 |
거래가 별로 없어서인지 정확한 계산 어려움 |
혼자 코멘트:
나는 로또나 코인, 주식으로 대박 나지 않는 이상 한남, 성수 고급주택 실거주는 옵션으로 고려하지 않는다.
이 정도 아니더라도 내 나름의 목표를 높게 가지되, 실현 가능하도록 정진 또 정진! 아직 인생 많이 남았다.
서울 부동산 투자 참고하면 좋은 자료_25년 서울시 주요업무계획 (5) | 2025.07.12 |
---|---|
재건축단지내 상가투자_강남구 개포동 경우현_상가조합원 현금청산되나? (25/7/6일자 한경기사) (6) | 2025.07.08 |
부자되는 책읽기_경기도 부동산의 힘_김학렬(투자 목적별로) #3 (3) | 2025.07.07 |
부자되는 책읽기_경기도 부동산의 힘_김학렬 (25.1월 발간) #2 (4) | 2025.07.07 |
부자되는 책읽기_경기도부동산의 힘_김학렬 (25년 1월 발간) #1 (5) | 2025.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