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하고성장하는직장인 블로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사고하고성장하는직장인 블로그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72) N
    • 재테크_주린이_채린이 성장기 (68) N
    • 법률_나를 지키는 생활 법률 (6)
      • 법률_판례_민법 중심으로 (6)
      • 법률_판례_상법 중심으로 (0)
    • 세금_생활경제 따라잡기 (23) N
      • 세금 공부 (8)
      • 경제_금융_대출 공부 (15) N
    • 재테크_부동산_아파트일반 (30)
    • 재테크_부동산_정비사업 (11)
      • 정비사업_재건축재개발_유권해석 등 (1)
      • 정비사업_재건축재개발_투자 (9)
    • 알쓸신잡_소소한 정보들 (27)
      • 알쓸신잡_알뜰살뜰 (16)
      • 알쓸신잡_일하며공부하며 (10)
      • 알쓸신잡_건강챙기기 (1)
    • 이번 생을 즐겁게_긍정하기 (6) N

검색 레이어

사고하고성장하는직장인 블로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알쓸신잡_소소한 정보들/알쓸신잡_일하며공부하며

  • 내 Persona에 최적인 생성형 모델은 무엇일까?

    2025.07.26 by 부자되는똑순이

  • 나는 3년뒤 쓸모 있는 인력일까?_미국 대형 Tech기업 대규모 인력 해고 시사점

    2025.07.20 by 부자되는똑순이

  • 회사가 망하는 경우_ 파산 Vs. 기업회생 각 조건 및 절차 요약

    2025.07.19 by 부자되는똑순이

  • KBS다큐_인재전쟁_1부 공대에 미친 중국_ 중국이 미국을 추월할지도

    2025.07.14 by 부자되는똑순이

  • 기업공시_내부자(임원 주요주주) 거래계획 사전공시의무제도_ 사례 분석

    2025.07.10 by 부자되는똑순이

  • 주요주주가 되니 이런 규제가! '상장회사 내부자거래 사전공시제도'

    2025.07.03 by 부자되는똑순이

  • 기업 자금조달 급부상 수단_PRS (Price Return Swap) 결국 차입금 판정

    2025.06.27 by 부자되는똑순이

  • 업무에서 배우기_기업의 공시의무_상장기업 보유지분 매각 시

    2025.06.25 by 부자되는똑순이

내 Persona에 최적인 생성형 모델은 무엇일까?

업무에, 일상 생활 리서치에 생성형 AI를 사용하면서, (파워 유저는 아직 멀었다) 답변이 맘에 안 드는 경우도 많다. 정말 그럴듯하게 얘기하는데 알고보면 죄다 Hallucination이었거나, 판례 번호를 그럴듯하게 주길래 찾아보면 다 없는 판례이거나, 꼭 최신 법령, 정보 기준으로 정리해달라고 하면 3년 전 정보를 주거나 등등아직 내가 생성형 AI를 학습시키고 길들이는 수준이 모자란 것이겠지만, 그래도 이런 단점보다는 장점이 확실히 많다. 이거 없었으면 어떻게 했어 싶을정도로 말이다. 일상 생활에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몇년 지나면 이러다 바보되는 거 아닌가 싶다. ㅎㅎ ISTJ인 나는 그럼 어떻게 더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일을 찾지? 이건 차차 고민을 해보기로 하고. Perplexity Pro를 주..

알쓸신잡_소소한 정보들/알쓸신잡_일하며공부하며 2025. 7. 26. 12:00

나는 3년뒤 쓸모 있는 인력일까?_미국 대형 Tech기업 대규모 인력 해고 시사점

매일 Google Trend에서 한국 Business 검색량 순위 키워드를 검색하곤 한다. 그런데 금요일에 혹시 호기심에 미주식 개장 전에 뉴욕을 지정하고 Business & Finance 부문 검색량 최대 순위를 보니 대부분 주식이다. 그 중에서 주식 검색 아닌 Amazon AWS Layoffs가 궁금해서 찾아봤다. 사실 이미 MS, Meta 등 아이러니하게도 AI 등으로 기술혁신을 하는 기업들이 앞서서 대규모 Layoffs를 하고 있어서 새로운 뉴스는 아닌데 24시간 동안 검색량 상위라니 다른 시사점이 있나? "We've made the tough decision to remove certain roles within specific teams in AWS. These choices are essen..

알쓸신잡_소소한 정보들/알쓸신잡_일하며공부하며 2025. 7. 20. 06:00

회사가 망하는 경우_ 파산 Vs. 기업회생 각 조건 및 절차 요약

담당 업무가 투자, 사업개발 투자회사 관리 등인데 요즘에는 회사 전략 방향성 상 '비핵심자산정리, 유동성 확보' 목표로 매각하는 방향에 집중되어 있다. 흠...정리하기 아까운 회사도 있고, 사실 진작에 정리했어야 했는데 하는 회사도 있다. (개인 주식투자와 비슷하다 ㅠ 내 개인 손해가 아닐 뿐이지. 투자를 잘하는 것은 개인 차원이나 기업 차원이나 어렵다는 생각;;;) 요즘 보고 있는 회사가 올해 내년을 넘기지 못할 수 있어 망하는 경우 어떻게 되는지 기초 내용을 찾아보았다. 1. 법인 파산 절차, 조건, 소요시간1) 신청 조건지급불능: 만기 채무를 이행할 수 없는 상태(어음·수표 부도, 거래처 대금 지급 중단 등)채무초과: 자산보다 부채가 많은 상태(장부상 자본잠식), 정상적 경영이 불가한 위험조건은 대..

알쓸신잡_소소한 정보들/알쓸신잡_일하며공부하며 2025. 7. 19. 06:00

KBS다큐_인재전쟁_1부 공대에 미친 중국_ 중국이 미국을 추월할지도

작년에 오랜만에 중국 출장 갔을때, 입국 전부터 비자 준비하면서 나의 개인정보 (심지어 가족 모두)와 카드 결제정보를 다 넣어야 하는게 상당히 불편했다. 방문한 회사의 대부분은 (아무리 작은 회사여도) 출입 시스템이 안면인식이었다.수년전에 회사 동료가 중국 여행을 갔다가 백화점에서 아들을 잃어버렸는데, 신고하고 바로 한시간만에 찾았는데 그게 알고보니 안면인식기술로 사람을 찾아냈다는 것이다. 중국 과학기술이 대단하더라구요' 했던게 엊그제 같은데...그 이유를 알게된 다큐멘터리를 우연히 보게 되었다. 내가 몰랐던 것일까... KBS다큐_인재전쟁_1부 공대에 미친 중국의 제목이지만 인터뷰 나레이션 하나하나가 의미심장하다. 지금 한국이 할 수 있는 건 중국이 다 할 수 있다. 반대로 중국이 할 수 있는 것 중에..

알쓸신잡_소소한 정보들/알쓸신잡_일하며공부하며 2025. 7. 14. 06:00

기업공시_내부자(임원 주요주주) 거래계획 사전공시의무제도_ 사례 분석

최근 업무에서 중요한 주제로 스터디하고 있는 게 있다. 24년 7월부터 시행되어서 주식 시장 or 관련 기업에 적지 않은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좋은 의도의 규정이지만 나쁜 의도를 갖지 않은 기업에게는 실무에 상당히 어려움을 주는 발목잡기 규제로 생각된다. (우리 기업사례 ㅠ)어쨌든 하나라도 배워보고, 실제 기업공시 담당자가 알아둬야 하는 것들 기록해보고자 한다.전자공시시스템 DART에는 정말 유용한 정보가 많다. 비즈니스 의사결정 위해서도, 주식 투자할때도...시작하기 전에....일전에 포스팅 했던 것 미리 보고 오셔도 좋다. 업무에서 배우기_기업의 공시의무_상장기업 보유지분 매각 시 업무에서 배우기_기업의 공시의무_상장기업 보유지분 매각 시어제는 중요 업무 보고가 많았다. 그 중에서 실무 차원에서 ..

알쓸신잡_소소한 정보들/알쓸신잡_일하며공부하며 2025. 7. 10. 06:00

주요주주가 되니 이런 규제가! '상장회사 내부자거래 사전공시제도'

요즘 열심히 투자회사 자산을 매각 중인데... 상장회사가 확실히 비상장회사보다 규제가 많다. 특히 상장회사의 지분 10% 이상을 보유하니 공시의무가 까다롭다고 얼마전에 공린이 수준으로 포스팅한 적이 있다. 오늘은 한 단계 더 들어가서 살펴보자. 바쁘신 분들을 위해 결론부터 보여드리면, 국내 상장주식의 10% 이상을 보유한 주요주주가 블록딜(시간외대량매매)로 전량 매각할 경우, 2024년 7월 24일부터 시행된 상장회사 내부자거래 사전공시제도에 따라 매각 실행일 최소 30일 전에 매각계획을 공시해야 한다.주요주주 블록딜 사전공시의무의 구체적 내용적용대상:임원 및 주요주주(의결권 있는 주식 10% 이상 보유자, 임원 임면 등 주요 경영사항에 사실상 영향력 행사자).공시의무 발생 요건:전체 발행주식의 1% ..

알쓸신잡_소소한 정보들/알쓸신잡_일하며공부하며 2025. 7. 3. 18:00

기업 자금조달 급부상 수단_PRS (Price Return Swap) 결국 차입금 판정

그동안 기업자금조달 시장에서 핫하게 나온 얘기라고 하는데, 존재를 몰랐다가 최근 업무하면서 알게되서 급 관심을 갖게 되었다.상당히 나이브하게 생각했었는데 이게 그게 아니었다. 회계팀에서 지속적으로 Challenging했던 이유가 있었네 싶다.어제자 기사 기준으로 결국 많은 논란 끝에 회계법인에서 '지분투자 아님. 차입금 부채 성격'으로 거의 논란의 종지부를 찍은 것 같다. 기사를 나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원문은 가장 아래에 링크)- 국내 대기업들이 자회사 주식을 담보로 활용해 자금을 조달하는 PRS (Price Return Swap) 계약이 회계상'대출'로 인식돼 조달이 어려울 전망임- PRS는 그동안 주식 매각형태로 자산에만 반영, 부채로 잡히지 않아 대기업의 주요 조달 수단으로 각광받아왔으나,..

알쓸신잡_소소한 정보들/알쓸신잡_일하며공부하며 2025. 6. 27. 12:00

업무에서 배우기_기업의 공시의무_상장기업 보유지분 매각 시

어제는 중요 업무 보고가 많았다. 그 중에서 실무 차원에서 놓쳤던 것이 있어 다음에 잊지 말자는 차원에서 기록해본다.자세한 법인명 등은 생략하겠다. 회사 정보일 수 있으니.... 투자회사 관리 업무를 하시는 분들 참고하시면 좋겠다.우리 회사가 상장회사 지분을 10% 미만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리고 우리는 이 회사 지분을 전량 매각하려고 했다. 공시 의무는 아니라고 알고 있어서 열심히 매각건만 알아보고 있었는데....해당 상장회사가 자사주소각을 하는 바람에 우리 지분율이 10% 초과로 올라 있었다. 10% 이상 지분이면 주요주주가 되면서 많은 공시 의무가 발생한다. 법령상 주의사항을 알아보자.1. 블록딜로 매각 시1) 거래 계획 보고 (지분10% 이상 보유)매각할 경우, 30일 전에 거래계획을 보고..

알쓸신잡_소소한 정보들/알쓸신잡_일하며공부하며 2025. 6. 25. 12: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사고하고성장하는직장인 블로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