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세 특례, 조세 특례에 항상 귀를 솔깃하고 있는데, 홍춘욱박사님 유투브 듣다가 귀가 솔깃하는 내용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제 막 취득한 우리 가족에게 있어서는 해당되지 않으나 은퇴를 앞두고 있는 Senior 분들, 하우스푸어분들은 알아둘 만하다. 물론 세금은 늘 개인의 개별 특성에 따라 안 될 수도 있으니 별도로 더 조사하시고 필요하면 세무상담 받아보길 추천한다. 일단 여기서는 홍박사님 동영상에서 키워드를 듣고, 기초 조사한 내용으로 구성해본다.
혜택이 큰 만큼 대상 조건이 매우 까다로우니 조건을 맞추거나, 영 아니다 싶으면 pass 하시길 바랍니다.
2025년 1월 1일부터 부동산을 양도한 후 양도대금을 연금계좌에 납입하면 양도소득세 부담을 줄여주는 새로운 세제 특례가 시행되고 있습니다. 이 제도는 노후자금 마련과 연금 가입을 장려하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아래와 같이 적용 요건과 혜택, 유의사항이 명확히 규정되어 있습니다.
적용 대상 및 조건
주요 혜택
유의사항 및 한계
정리
적용 시기 | 2025.1.1 ~ 2027.12.31 양도분 |
적용 대상 | 기초연금 수급자 + 1주택 또는 무주택 세대 |
대상 부동산 | 10년 이상 보유한 국내 주택·토지·건물 |
연금계좌 납입 요건 | 양도일로부터 6개월 내, 최대 1억원까지 납입 |
세액공제 혜택 | 연금계좌 납입액의 10%를 양도소득세에서 공제 |
연금계좌 유지조건 | 5년 이상 유지, 60세 이후 연금수령(중도 인출 시 세액 추징) |
유의사항 | 대상자 제한, 중도 인출 시 세액 추징, 사업자 제외 등 |
관련 법령 및 참고
출처
이 특례는 2025년 6월 현재 유효하며, 향후 세법 개정이나 정부 발표에 따라 세부 내용이 변경될 수 있으니, 부동산 양도 전 반드시 최신 법령 및 국세청 안내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1. 2025년 양도소득세율 구조
2025년 기준 부동산(주택, 토지, 건물) 양도소득세율은 과세표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누진적으로 적용됩니다.
1,400만원 이하 | 6% | - |
1,400만원~5,000만원 | 15% | 126만원 |
5,000만원~8,800만원 | 24% | 576만원 |
8,800만원~1억5천만원 | 35% | 1,544만원 |
1억5천만원~3억원 | 38% | 1,994만원 |
3억원~5억원 | 40% | 2,594만원 |
5억원~10억원 | 42% | 3,594만원 |
10억원 초과 | 45% | 6,594만원 |
2. 연금계좌 납입 시 양도소득세 과세 특례
3. 절세 효과 비교
예시 시나리오
연금계좌 납입 특례 적용 시
절세 효과
비교 요약
과세표준 1억원(예시) | 2,400만원(24%) | 1,400만원(세액공제 1,000만원) |
절세 효과 | 없음 | 1,000만원 세액 직접 공제 |
추가 세제혜택 | 없음 | 연금계좌 세액공제와 중복 가능 |
실제 적용 시 유의점
2025년 기준 일반 양도소득세율은 과세표준에 따라 6~45%의 누진세율이 적용되며, 연금계좌 납입 특례를 활용하면 최대 1억원 한도에서 10% 세액공제(최대 1,000만원)를 직접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 양도소득세 부담을 크게 줄여주는 효과가 있으나, 적용 요건이 매우 엄격하므로 사전 확인이 필수입니다.
홍춘욱박사님 강의는 늘 유익하다. 직접 링크한다!!
가족간 금전대차 주의사항 (심화) #1_ 저가양도 수준 판단 (1) | 2025.06.27 |
---|---|
가족간 차용증_증여추정 주의사항_조세 심판원 판례 등 (0) | 2025.06.26 |
[최신조심판례] 단기임대주택이 종합부동산세 합산배제 대상인지 여부 (0) | 2025.06.21 |
[PLAN] 상생임대주택특례, 잔금일과 임대차계약 동시 경우 가능하려면? (0) | 2025.06.14 |
[양도세] 상생임대주택특례 유권해석 모음#1 (feat.직전임대차계약 주의) (5) | 2025.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