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1에서 봤던 업종순환에 대해 조금 더 적어보겠다. 그리고 연준과 싸우지마라는 명언! 에 대한 부분 인용해보겠다.
해당 섹션에 이미지는 아래와 같다. 다소 이해하기 좋은 이미지는 아니어서 증권사들 이미지를 추가로 넣어보았으니 비교해서 이해하면 좋겠다.
이 부분에서 최소한 내가 암기할 내용은 아래와 같다. (생각만큼, 실전에서 손가락은 따로 놀아서 문제 ㅠㅠ)
이외 기억하고 싶은 부분 발췌, 요약해본다. 실전에 적용이 잘 안되는데 매크로원칙을 Baseline으로 하는 것을 명심하자!
[핵심] "연준과 싸우지 마라" 주요 내용 요약
1. "연준과 싸우지 마라"란 무엇인가?
2. 연준의 정책과 시장의 인과관계
3. 투자자가 반드시 해야 할 일
4. 실전 투자에서의 적용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 책 내용은 아니지만 기초 정보를 추가 조사해 보았다.
1. 통화정책(Monetary Policy)
주체: 연방준비제도(Fed, 중앙은행)
목적: 물가 안정(인플레이션 관리), 최대 고용, 금융시장 안정주요
수단: 기준금리(연방기금금리) 조정, 공개시장조작, 지급준비율, 할인율, 은행 지급준비금에 대한 이자 등
(1) 확장적(완화적) 통화정책
적용 상황:경기 침체, 실업률 상승, 인플레이션이 목표치(2% 내외)보다 낮을 때
정책 내용:기준금리 인하, 자산 매입(양적완화), 시중 유동성 공급 확대
효과:대출금리 하락 → 소비·투자 증가 → 총수요 확대 → 생산 증가 및 고용 창출 → 경기 회복 유도
예시: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직후 연준의 기준금리 0%대 인하, 대규모 자산매입
(2) 긴축적(수축적) 통화정책
적용 상황:경기 과열, 인플레이션이 목표치(2% 내외)를 초과할 때
정책 내용:기준금리 인상, 자산 매각(양적긴축), 시중 유동성 흡수
효과:대출금리 상승 → 소비·투자 위축 → 총수요 감소 → 생산·고용 둔화 → 인플레이션 억제
예시: 2022~2023년 고물가 상황에서 연준의 기준금리 대폭 인상
2. 재정정책(Fiscal Policy)
주체: 정부(의회, 행정부)
목적: 경기 안정화, 고용 촉진, 성장 촉진, 사회복지 실현주요
수단: 정부지출(공공투자, 복지 등), 조세(세율 인상/인하)
(1) 확장적(경기부양) 재정정책
적용 상황:경기 침체, 실업률 상승, 민간 소비·투자 부진
정책 내용:정부지출 확대(인프라, 복지 등), 감세(소득세·법인세 인하), 현금성 지원(재난지원금 등)
효과:가계·기업의 가처분소득 증가 → 소비·투자 확대 → 총수요 증가 → 생산·고용 증가 → 경기 회복
예시: 2020~2021년 미국 CARES Act, American Rescue Plan 등 대규모 경기부양책
(2) 긴축적(경기억제) 재정정책
적용 상황:경기 과열, 인플레이션 급등, 국가채무 부담 증가
정책 내용:정부지출 축소, 증세(세율 인상), 공공부문 감축
효과:가계·기업의 가처분소득 감소 → 소비·투자 위축 → 총수요 감소 → 생산·고용 둔화 → 인플레이션 억제
예시: 1980년대 초 미국 레이건 행정부의 일부 증세·지출 삭감 정책
두 정책은 경제 상황에 따라 단독 또는 병행해 사용되며, 상호작용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기억하고픈 내용이 많은데 스크롤 압박이라, 다시 끊고 갑니다~~
[책읽기] 미국배당주 투자지도_서승용 저 (2019년 4월 발간) (13) | 2025.06.12 |
---|---|
[책읽기] 브라질에 비가 내리면 스타벅스주식을 사라_피터나바로(22년3월 재발간_윤지호감수) Part 3 (7) | 2025.06.10 |
[책읽기] 브라질에 비가 내리면 스타벅스주식을 사라_피터나바로(22년3월 재발간_윤지호감수) Part 1 (7) | 2025.06.10 |
[책읽기] (미국ETF기초) 나의 첫 ETF 포트폴리오_송민섭(수페TV) (22년 5월 발간) (8) | 2025.06.08 |
[책읽기] 홍진채, 거인의 어깨1 (22.12월 발간) (2) | 2025.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