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책읽기] (미국ETF기초) 나의 첫 ETF 포트폴리오_송민섭(수페TV) (22년 5월 발간)

재테크_주린이_채린이 성장기

by 부자되는똑순이 2025. 6. 8. 18:00

본문

이 책은 미국 ETF를 생전 처음 시작하려는 사람들에게 좋다.

2년전에 읽고 정리해둔 메모를 다시 정리하는 것인데... 지금 봐도 간단 명료하고, 심플하게 포트폴리오 관리하는 사람에게 유익하다. 나는 이 책 이후에도 미국 ETF책을 몇 권 봤는데 물론 깊이에 있어서는 신간들과 비교가 안되지만, 롱런하는 대형 핵심 ETF는 변하지 않고 있으니 미국 ETF 초보자들은 참고할만하다.

 

 

 

여기서는 책에서 친절하게 설명한대로 미국 ETF과 왜 좋고, 어떤 정보를 봐야하고 등 나열하고 다양한 ETF를 다 소개하기보다, 순전히 나자신 참고하기 위해 기본 지수를 추종하는 기본 ETF 몇개와 포트폴리오를 참고했다.

Point! 오래될 수록 좋고, 같은 지수 추종하면 단연 총보수 낮은 것으로!

사전 참고: ETF 종류와 포트폴리오 보려면,

www.etf.com

​​

[2부 내맘대로 ETF 뜯어보기]

미국 국가대표 지수 ETF, DIA

  • 다우존스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 스테이트 스트리트(운용사)의 ETF 브랜드인 SPDR에서 운용
  • 정확한 종목명은 SPDR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Trust
  • 1998년 상장. 경제위기 또한 여러번 겪고도 survive한 베테랑 ETF
  • 총보수 0.16%
  • 가장 큰 장점은 매달 분배금을 받을 수 있다는 것. 분배금의 구체적인 액수는 주가와 투자기업의 지급액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지만 보통 1.5% 정도 수준의 분배금을 받을 수 있는 효자 종목
  • 주요 투자섹터는 (22년 2월 기준), 정보기술> 헬스케어 > 금융 > 산업 > 임의소비재 순
  • 각 산업을 대표하는 우량 기업 30개로 미국의 대표기업이기도 함

미국 성장 중심 기술주 ETF, QQQ

  • IT 핵심 대기업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엔비디아, 테슬라 등에 모두 투자하고 싶다면 바로 QQQ
  • 나스닥 100지수를 추종하는 ETF로 정확한 명칭은 " Invesco QQQ Trust Series 1". 혁신과 성장을 모토로 하는 미국기업 중 나스닥 시가 총액 상위 100개 기업을 선별한 상품
  • 주요 투자섹터는 (22년 2월 기준) 정보기술 51% > 통신서비스 (18%) > 임의 소비재 (16%)

미국 주식 전체에 투자하는 ETF, VOO (Vanguard S&P 500 ETF)

  •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 중 가장 유명한 SPY ETF보다 총보수가 더 낮으면서도 수익률 차이 크지 않아서 강추!
  • S&P 500 지수 추종 3대 ETF 비교하면
('22.2월 기준)
SPY
VOO
IVV
운용사
스테이트 스트리트
뱅가드
블랙록
상장일
1993.1.22
2010.9.7
2000.5.15
총보수
0.09%
0.03%
0.03%
자산규모(달러)
3947억
2769억
3207억
투자섹터
기술, 임의소비재, 금융, 헬스케어 등
투자기업
S&P 500 기업

미국의 숨은 진주 중소형 ETF, IWM

  • 러셀 2000 지수 추종하는 ETF
  • 러셀 2000 지수는 미국 증권시장에 상장된 2000개의 중소형주로 구성된 지수로 시가총액 1001~3000위까지 기업
  • IWM의 정식 명칭은 "iShares Russell 2000 ETF'로 블랙록이 운용하는 ETF
  • 러셀 2000 지수에 속하는 기업들은 내수 비중이 높고 마진이 낮은 기업들이 많아 경기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변동 폭도 큰 편
  • 경기가 좋다고 판단되는 시기에는 투자 위험 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중소형주에 투기세력이 붙는다. 또 반대의 겨우에는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기도 함.
  • 이런 위험 자산에는 분산투자를해서 리스크를 줄여야 한다.
  • 주요 투자 섹터는(2022.2월 기준), 금융 17% > 헬스케어 (17%) > 산업 (15%) > 정보기술(14%) > 임의 소비재 (11%) 정도

​​

노후를 준비하는 배당 ETF 투자

▶지금 당장 리츠 고배당 ETF, VNQ (Vanguard Real Estate ETF)

  • 상장일 '04.9.23
  • 총보수 0.12%
  • 자산규모(달러): 450.2억
  • 투자섹터: 특수리츠 > 주거용 리츠> 산업리츠> 리테일 리츠> 헬스케어 리츠 > 부동산 서비스 > 호텔 & 리조트 리츠 > 부동산 개발 등

▶ 미래를 내다보는 배당성장 ETF

  • 대표적인 ETF 4개를 비교해보자
('22.2월 기준)
DGRO
VIG
SCHD
NOBL
운용사
블랙록
뱅가드
찰스슈왑
프로셰어즈
상장일
2014.6
2006.4
2011.10
2013.10
총보수
0.08%
0.06%
0.06%
0.35%
자산규모(달러)
227억
642억
385억
97억
배당성장
5년 이상
10년 이상
10년 이상
25년 이상
배당률
2%
1.5%
2.9%
2.0%
  • 이 중에서 저자가 선호하는 ETF는 VIG와 SCHD. 상장일, 자산규모, 총보수, 투자기업 등 고려했을 때 NOBL보다 상대적으로 수익률 좋다.
  • SCHD: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 VIG: Vanguard Dividend Appreciation ETF

 

▶ 월급같은 월배당 ETF

  • 월급처럼 매달 배당 받는 ETF
  • 주요 3개 ETF 비교해보자
('22.2월 기준)
DIA
SPHD
DGRW
운용사
스테이트 스트리트
인베스코
위즈덤트리
상장일
1998.1.14
2012.10.18
2013.5.22
총보수
0.16%
0.3%
0.28%
자산규모(달러)
292억
32억
69억
특징
다우존스
고배당
배당성장
배당률
1.68%
3.46%
1.85%

▶ 세계 곳곳 글로벌 배당 ETF

  • 미국 주식시장 추종하는 ETF가 가장 유리하고 안전하지만, 그래도 미국만 투자하기에 뭔가 부족하다면 다른 국가 투자하는 배당 ETF 보자
('22.2월 기준)
VEA
VXUS
IDV
운용사
뱅가드
뱅가드
블랙록
상장일
2007.7
2011.1
2007.6
총보수
0.05%
0.08%
0.49%
자산규모(달러)
1074억
530억
48억
주요 국가
일본 20%
영국 13%
일본 15%
영국 10%
영국 23%
캐나다 11%
배당률
3.25%
3.3%
5.45%
  • VEA: Vanguard Developed Markets Index Fund ETF
  • VEA 투자섹터는 금융, 산업, 임의소비재, 기술, 헬스케어 등 경기에 민감한 분야가 많으며 투자 대상 국가 다양. 단점(?)은 무려 4033개 기업에 투자 중
  • IDV: iShares International Select Dividend ETF
  • IDV는 100개 글로벌 고배당 기업에 집중해 투자하는 종목. VEA보다 주가 변동 폭이 크고 배당이 높다
  • 고배당 상품 선택할때 주의!! 원금을 까먹지 않고 주가가 꾸준히 상승하는지 꼭 확인해야 한다.
  • 코로나 절정이었을때 IDV는 하락 폭이 가장 컸고 (배당률이 높아보여도) 이후 회복 속도도 더뎠다. 그래서 저자는 VEA를 선호한다고.

▶ 국채 ETF 세 가지

  • 위험을 더욱 최소화하기 위해 국채에 투자하는 ETF도 참고하자.
  • 처음 채권에 투자하는 투자자라면 중기 채권을 가장 추천. 특히 포트폴리오에 이미 혁신과 성장 종목이 이미 포함되어 있다면 굳이 채권에서 단기나 장기로 변동성을 늘릴 필요 없응니 달러 자산을 갖고 있겠다는 목적과 안정성에 중심을 둬라
  • 블랙록의 단기/중기/장기 국채 ETF 비교하면
('22.2월 기준)
SHY
IEF
TLT
운용사
블랙록
상장일
2002.7.22
총보수
0.15%
자산규모(달러)
212억
162억
150억
특징
단기 (1~3년)
중기 (7~10년)
장기 (20년이상)
배당률
0.26%
0.8%
1.76%

● 투자에 재미를 느끼기 위해, 포트폴리오에 넣어두면 좋은 테마별 추천 ETF

  • 반도체 분야 대표: SOXX, SMH
  • 클라우드 분야 대표: SKYY
  • ESG 분야 대표: ESGU
  • 메타버스 분야 대표: METV (VOO에 투자하고 있다면 투자 기업이 중복될 수 있으므로 주의)
  • 아크인베스트의 대표 액티브: ARKK
  • 사이버보안 분야 대표 ETF: CIBR


QQQ와 함께 투자하면 좋은 ETF

▶QQQ + VOO

  • VOO는 SPY와 동일하게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로 총보수가 SPY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VOO 선택
  • QQQ 투자 기업 70%는 S&P 500에 포함되서 중복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반대로 VOO에 투자하기는 하는데 그 중에서도 기술 성장 기업에 좀 더 가중치를 두고 싶다면 QQQ와 함께 투자하는 것이 좋은 해결책인 셈.

▶QQQ + VNQ

  • VNQ는 부동산 리츠 관련 ETF
  • 보수적인 관점에서 배당 비중을 높게 투자하고 싶은 분이라면 비율을 1: 1로.
  • 추가로 QQQ + SCHD 조합도 성장과 배당을 모두 가져가는 좋은 궁합

▶QQQ + 테마

  • 저자 개인적으로는 테마로 KRBN ETF를 선택한다고 한다. 탄소배출권 테마.

▶QQQ + VEA

  • VEA는 글로벌 배당 ETF

▶QQQ + IEF

  • 성장에 투자하는 QQQ와 중기 채권 IEF의 조합. 동시에 달러 자산 확보


 

[포트폴리오 4가지 소개] (금액별)

Point! 포트폴리오에서 중요한 것은 나의 성향을 파악하는 것. 언제까지 투자할 돈인지 구분하는 것!

● 작지만 강력한 포트폴리오 (월 30만원)

  • 성장 SPLG (S&P 500)
  • 배당 VNQ (부동산)
  • 채권 IEF (중기채권)
  • 위 각 비중을 4:4:2 추천

● 노후 준비 포트폴리오 (월 50만원)

  • 혁신/성장 QQQM (나스닥100)
  • 배당 SCHD (금융/산업) or
  • 배당 VNQ (부동산)
  • 채권 IEF (중기채권)
  • 원자재 IAU (금)
  • 위 각 비중을 4:4:1:1 추천

● 건강한 포트폴리오 (월 100만원)

  • 혁신/성장 QQQM (나스닥100) or
  • 혁신 KRBN (탄소배출권)
  • 배당 SCHD (금융/산업) or
  • 배당 VNQ (부동산) or
  • 배당 VEA (미국 X 글로벌)
  • 채권 IEF (중기채권)
  • 원자재 IAU (금)
  • 위 동일 성격 간 비중을 4:3.5 :1.5 :1 추천

 

●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전략

  • 정기 리밸런싱: 날짜를 지정해 6개월 혹은 1년에 한 번 진행. 초기에 설정한 비중과 틀어진 부분을 조정. 비중이 늘어난 경우 매도, 그 수익으로 비중이 줄어든 다른 종목을 매수
  • 수시 리밸런싱: 보유하고 있는 종목의 주가가 갑자기 하락하거나 폭등해 7% 이상 변동성이 발생했을 때 즉시 진행.


Closing Comment:

우선 책 정리와 앞으로 투자할 포트폴리오 방향성 잡은 데 의의를 두자. 다음에 할 일은...투자 실행!

1) 우선 연금저축펀드 계좌에서는 해외 ETF가 안되므로, 위와 같은 컨셉으로 국내 상장 ETF 포트폴리오를 짜고 투자

2) 이후 월 여유분 (30만원 이상 늘려가기) 확보해서 미국 ETF 포트폴리오로 투자 시작
(투자할 현금 확보가 사실 제일 문제다 ㅠ)

3) 분기 or 반기마다 Rebalancing (의도했던 비율 맞춰지도록)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