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맥킨지에 대해 좋게 생각하지는 않음을 미리 밝힌다.
물론 훌륭한 인재도 많이 배출했고, 경제, 경영에 나름의 Presence가 있으니 이름 값을 하는 거겠지만, 과거 우리 기업들에게 잘못된 컨설팅을 해주고, 기업을 오히려 망쳐놓은 경우도 있었기에 절대적으로 신뢰하지는 않는다.
오랜만에 뉴스에 등장하길래, 그것도 헤드라인이 '한국 경제를 향한 훈수'라고 기자가 뽑으셨길래 자극적이서 잠깐 살펴봤다.
한국경제 > 산업 기사 뉴스 기준으로 보자.
"기업 짓누르는 '바위 규제' 치워야 저성장 탈출"
상법 개정안·중대재해법…"외국계기업들, 韓 근무 피해"
요지만 발췌해보면
올해 한국이 받은 경제 성적표다. 세계적인 컨설팅기업 맥킨지앤드컴퍼니는 한국이 저성장 국면에 빠진 원인을 ‘기업가정신 쇠퇴’에서 찾았다. 주 52시간 근무제, 상법 개정안 등 혁신을 가로막는 규제 때문에 기업이 투자를 주저하면서 성장동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
송 대표는 기업가정신이 쇠퇴한 원인으로 ‘잘못된 규제’를 지목했다. 그는 “상법 개정안, 주 52시간제 등 ‘바위(big rock) 규제’가 어떻게 기업 경쟁력을 끌어내렸는지 검토해야 할 때”라며 “기업가정신과 기업의 성장 욕구를 살려야 한국 경제가 다시 활력을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
삼성전자는 한국 경제의 ‘잃어버린 20년’을 보여주는 수많은 사례 중 하나일 뿐이다. 송 대표는 활력 잃은 한국 산업 구조를 나타내는 또 다른 증거로 ‘10대 수출 품목’을 꺼내 들었다. 2005년과 2024년 한국의 10대 수출 품목 중 반도체, 자동차, 무선통신기기 등 9개가 똑같다. 2005년에 들어 있던 컴퓨터 대신 일반기계가 추가됐을 뿐이다.
우려스러운 것은 경제지표가 동시에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는 것이다. 맥킨지에 따르면 2021년 대비 2025년 한국 잠재성장률은 0.41%포인트 떨어졌다. ‘늙어가는 선진국’으로 얕잡아 보던 영국(0.24%포인트 상승), 이탈리아(0.28%포인트 상승)보다 못한 성적표다. 송 대표는 “잠재성장률 정체가 경제의 현 성적표라면 국가경쟁력 하락은 한국의 미래를 뜻한다”며 “기업 효율성이 저하되면서 국가 경쟁력도 떨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
문제는 규제 강도가 점점 강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맥킨지와 국민참여입법센터에 따르면 국회 회기별 규제법안 발의 건수는 19대 1만7822건에서 20대 2만4141건, 21대 2만5858건으로 늘었다. 22대에선 4만 건을 넘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송 대표는 한국이 성장 잠재력을 되찾기 위한 첫 번째 과제로 ‘바위(Big Rock) 규제’의 철폐를 꼽았다. 바위 규제는 강도가 세서 혁신 기업의 발목을 잡지만 철폐하는 게 쉽지 않은 규제를 뜻한다. 맥킨지는 상법 개정안, 주 52시간 근로제, 중대재해처벌법, 노동유연성 관련 규제, 상속세·증여세법 등을 대표적 바위 규제로 적시했다. 송 대표는 “경직된 노동시장 때문에 외국 기업은 한국에 진출하지 않으려 한다”며 “외국계 기업의 우수한 경영자는 중대재해처벌법 때문에 한국 근무를 피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의뢰한 것이라서 그에 맞는 결론을 낸 것 같다. 물론 규제가 과도한 것도 사실이다.
(좀 다른 얘기긴 하지만) 외국인투자를 떠나서 내국인 법인 입장에서 산업단지 등 매매하는데도 산집법과 관련 유권해석 찾다가 지쳐버릴 지경이니...
그런데 나는 이번 컨설팅 결과만을 보기보다, 23년 10월 맥킨지 진단 결과도 같이 보면서 종합 판단하면 좋겠다.
왜냐하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안이 이번에는 별로 안 보인다. (컨설팅 결과보고서가 보통 그렇듯이 ㅎㅎ)
2년 사이 우리나라가 더 망가진 것은 아닌 것 같고, 23년 보고서에서 그래도 해법을 제시한 바 있다.
Full version은 아래 링크로 pdf로 다운받아 보실 수 있다.
리포트 읽기_하반기 원자재, 유동성과 테마에 집중_대신증권 (25.5.27) (8) | 2025.08.05 |
---|---|
국토교통부 장관 김윤덕 지명_ 장고 끝에 악수 (4) | 2025.07.13 |
트럼프와 상호관세 협상_우리 정부 준비는? 외교부 임명 상태? (5) | 2025.07.09 |
트럼프, 한국 이재명 대통령에 보낸 상호관세 서한_협박 아니라 현실이라고? (5) | 2025.07.09 |
대출 규제 폭탄 집값 조정이냐 급락이냐 (김건우_언더스탠딩 25/7/2 방송) (4) | 2025.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