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신잡_소소한 정보들/알쓸신잡_알뜰살뜰
청년도약계좌_7월 1일-11일 접수! 금리가 무려 연 9% 대!
부자되는똑순이
2025. 7. 3. 06:00
이런 때는 참 청년이 아닌 게 참 아쉽다. ^^;(나는 대상이 아니지만, 내 사촌, 조카에게 추천해보려고 잠깐 살펴보겠다.)
이렇게 정부에서 단기적으로, 특정 대상에게 혜택을 주는 것은 절대 놓치지 말아야 한다. 청년 도약계좌 자격 조건 등 퀵하게 알아보자. 출근길에 보시고 대상 청년층은 일단 접수해보시길!
2025년 7월부터 접수 시작된 청년도약계좌의 가입대상, 조건, 장단점, 신청 방법을 살펴보자.
1. 가입대상 및 조건
- 연령: 만 19~34세 청년(군 복무 이행자는 복무기간만큼 가입 가능 연령 최대 만 39세까지 연장).
- 개인 소득: 연 총급여 7,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 가구 소득: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2025년 기준 1인 가구 월 598만 원, 4인 가구 월 1,256만 원 이하).
- 기타: 1인 1계좌만 가능, 청년희망적금 등 유사 정책상품과 중복가입 불가.
2. 주요 조건 및 혜택
- 저축 한도: 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적립(2025년부터 모든 소득구간 동일).
- 저축 기간: 5년(60개월).
- 정부 지원금: 소득에 따라 월 최대 3.3만 원까지 정부가 추가 지원(5년간 최대 198만 원).
- 비과세 혜택: 이자소득세 15.4% 면제.
- 금리 효과: 정부 지원금, 은행 이자, 비과세 혜택을 합산하면 연 최대 9.54% 수준의 금리 효과.
- 부분 인출: 2025년 하반기부터 2년 이상 유지 시 원금의 40%까지 부분 인출 가능.
- 중도 해지: 3년 이상 유지 시 비과세 혜택과 기여금의 60% 수령, 1년 이상 유지 시 일부 기여금 지급.
- 신용점수: 2년 이상 유지 및 800만 원 이상 납입 시 신용점수 5~10점 상승.
3. 장단점
장점 | 단점 |
정부 지원금 지급(최대 월 3.3만 원) | 5년간 자금 유동성 제한, 중도 해지 시 혜택 축소 |
일반 적금 대비 높은 금리(최대 9.54%) | 소득·가구 기준 미달 시 가입 불가 |
이자소득 비과세 | 최근 시중 적금 금리 상승으로 상대적 메리트 감소 가능 |
신용점수 상승 효과 | 중복가입 제한, 상품 구조 복잡 |
부분 인출 등 유연성 강화 | 정기 납입 필요, 부정수급 시 환수 및 추징금 |
4. 신청 방법 및 절차
- 신청 기간: 매월 1~11일(2025년 7월 기준), 1인 가구는 7월 17일부터, 2인 이상 가구는 7월 28일부터 계좌 개설 가능.
- 신청 채널: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기업, 부산, 대구(iM뱅크), 광주, 전북, 경남 등 11개 시중은행 모바일 앱에서 비대면 신청.
- 신청 절차:
- 은행 앱 설치 및 본인 인증
- 소득·가구 정보 제공 동의
-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자격 심사(약 2주 소요)
- 가입 가능 안내 후 계좌 개설 및 자동이체 등록.
- 서류 준비: 홈택스에서 종합소득금액증명서 등 소득확인서류 사전 준비 권장.
5. 어디서 어떻게 신청하는 게 좋은가
- 은행 앱 비대면 신청이 기본이다.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 등 주요 시중은행 앱에서 신청 가능하며, 조건과 금리, 서비스 차이는 미미하다.
- 신청 전 체크포인트:
- 본인 소득·가구 기준 충족 여부 사전 확인
- 5년간 납입 지속 가능성, 자금 유동성 필요성 고려
- 중도 해지, 부분 인출 조건 꼼꼼히 확인
- 부정수급 시 불이익(환수, 추징금) 주의.
6. 추가 참고
- 공식 정보는 서민금융진흥원, 각 은행 홈페이지, 청년도약계좌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 신청자 급증으로 조기 마감 가능성 있으니, 신청 기간 내 빠른 접수 권장.
이상, 2025년 7월 기준 최신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과 신청 방법, 장단점 정리이다.
심지어 비과세이다. 비과세 상품 거의 없다. 자격되면 무조건 들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