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린이_증권사리포트 공부_소비재_화장품 (유진투자증권 25.7.10)
소비재까지 볼 역량이나 여력이 없는데, 그래도 나처럼 '워낙 잘 나가는 K-뷰티, 화장품 분야를 Overview'하고 싶은 경우에 딱 보기 좋은 리포트이다.
기업에 대한 설명이 있거나 무슨 제품이 유행이거나 그런 설명은 없고 온통 숫자들이다. 어찌보면 이 리포트는 상당히 불친절한데 큰 그림 보고 개별 종목을 스스로 PICK 해서 추가 공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면 좋겠다.
(설명이 부족하거나 내가 모르는 것은 추가로 리서치해가면서 내용을 보완했다)
2025 Amazon Prime Day Review: K-뷰티 내 뒤바뀐 판도
이게 리포트 제목인데....
아마존 프라임 데이가 뭐야? (Amazon Prime Day)
아마존 프라임데이란?
아마존이 가입자(프라임멤버)를 대상으로 매년 7월 초 대규모 할인 판매를 진행하는 세계 최대 이커머스 기획전입니다. 2025년에는 사상 최초로 4일 연속(7월8~11일) 열리며, 전체 거래액은 214억달러(약 29조원)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프라임데이는 미국뿐 아니라 유럽, 일본, 호주 등 글로벌 플랫폼에서 동시에 열려, 최신 소비 트렌드를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이벤트이자 글로벌 소매주 동향의 '선행지표' 역할을 합니다.
- (일반적) 투자지표로서의 프라임데이 활용법
- 프라임데이 매출 성장률·카테고리별 베스트셀러 순위 분석을 통해 하반기(특히 블랙프라이데이, 연말) 미국 소비심리와 소매기업(화장품 포함) 실적 전망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 뷰티, 퍼스널케어 등 소비재 카테고리에서 신흥 브랜드, K-뷰티 약진 여부는 현지 시장 내 유통력·경쟁력을 실질적으로 확인하는 리트머스 시험지입니다.
- 미국 주식시장에서는 프라임데이 실적 발표 이후 아마존, 뷰티 OEM, 인기 브랜드 주가가 급등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프라임데이의 할인정책, 각 브랜드별 유저 확장 추이 등은 해당 기업의 마케팅 전략·제품력·향후 클라우드/자체몰/글로벌 확장성 평가에 매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2025 아마존 프라임데이 뷰티 섹터 매출 분석
1. 프라임데이 실적의 의미
- 올해 프라임데이는 단일 이벤트 기준 역대 최장(4일)·최대 매출로, 전체 미국 온라인 소비가 241억달러(Adobe Analytics 기준), 아마존 자체 품목으로만 약 214억~241억달러 매출로 추정됩니다.
- 과거(이틀→나흘로 확장) 대비 압축적 매출과 베스트셀러 교체 현상이 극적으로 나타나서, 해당 4일간 시장 내 역동적 소비 트렌드와 점유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실적 분석 투자 팁
- ‘4일간 매출’ 증감에 주목: 2025년 프라임데이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60% 급증(2024년 142억달러 → 2025년 214억달러, 혹은 241억달러까지 집계)하며, 특히 뷰티·헬스케어 등 소비재가 전체 성장률을 압도했습니다.
- Day1,2 매출은 전년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Day3~4 집중구매로 전체 누적은 신기록 갱신.
- 브랜드별로는 K-뷰티 및 인디 브랜드, 미국 중소 신흥 브랜드가 신제품·할인품목에서 기록적 매출 성장.
- 실시간 인기 순위/할인율 추세관찰: 프라임데이 공식 및 인기뷰티·소비재 품목 Top10~50 내에 처음 진입한 브랜드(한국·미국 모두)는 행사 후에도 온라인·오프라인 매출 증가 확률이 높음.
- ‘단기 이벤트→장기 성장’ 선순환 타깃 찾기: 4일 특수 매출이 실적에 얼마나 즉각 반영되는지, 아마존 및 경쟁 리테일러들과 동시 경쟁에서 약진했는지 파악이 중요.
(여기부터 이미지는 리포트 내용 캡쳐)
여기 리포트는아마존 프라임데이 종료 전에 점유율을 작성했는데, 종료 후 점유율 집계한 기사를 보니,
메디큐브(에이피알의 브랜드/제품)이 최종 점유율 1위였다!!! 와 에이피알!
메디큐브 ‘제로 모공 패드’ 인기 폭발!!
한경 기사 (25/7/20)
매출 '톱10' 3곳이 韓 브랜드아마존 프라임데이 'K뷰티의 날'메디큐브, 가장 많이 팔렸다나흘간 진행된 쇼핑 이벤트대대적 프로모션으로 존재감라네즈·바이오던스도 맹활약'달팽이 에센스' 코스알엑스 주춤
K뷰티가 글로벌 e커머스업체 아마존의 최대 쇼핑 행사 ‘아마존 프라임데이’에서 다시 한번 저력을 보여줬다. 나흘간의 행사에서 한국 회사 세 곳이 매출 점유율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K뷰티 1세대인 코스알엑스가 주춤했지만 메디큐브와 바이오던스 등 신흥 브랜드가 치고 올라오며 존재감을 과시했다.
...
◇‘제로 모공 패드’ 인기 폭발
20일 미국 뷰티 마케팅업체 나비고에 따르면 지난 8~11일 열린 아마존 프라임데이에서 메디큐브(판매사 에이피알)의 매출 점유율은 9.3%로 전체 1위를 차지했다. 또 다른 국내 화장품 브랜드 라네즈(아모레퍼시픽)가 3.0%로 9위, 바이오던스(뷰티셀렉션)는 2.9%로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아마존 프라임데이는 연회비 139달러를 내는 회원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할인 행사다.
또다른 기사도 참고하자. 헤드라인과 핵심 내용 위주로 보면
‘메디큐브·바이오던스는 미국, 브이티코스메틱은 일본, 달바는 유럽’.
아마존 프라임데이에서 K-뷰티 브랜드의 성과가 국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큐브 ‘제로모공패드 2.0’과 바이오던스 ‘바이오 콜라겐 리얼 딥 마스크’는 아마존 미국에서 인기를 끌었다.
브이티코스메틱 시트 마스크는 아마존 일본에서 높은 매출을 기록했다.
달바 ‘화이트 트러플 퍼스트 아로마틱 스프레이 세럼’과 ‘워터풀 톤업 선크림’은 아마존 스페인에서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독일‧이탈리아 스토어에서도 높은 판매 성과를 거뒀다.
코스알엑스 ‘어드벤스드 스네일 96 뮤신 파워 에센스’는 아마존 호주에서 잘 팔렸다.
국내 화장품 Peer 주가, 재무 수익 변화
국내소비재 Peer 비교 (화장품 외 유통, 의류 함께 비교)
외국인은 에이피알 진작에 사고 빠지고 달바글로벌로 갈아탄 분위기.
[부록] Perplexity 도움을 받아 1위는 아니더라도 아마존 프라임데이에서 매출 급상승한 한국 브랜드/회사를 더 알아봤다.
아마존 프라임데이(2025년 7월8~11일) 기간 동안 매출 급상승한 한국 대표 화장품 브랜드와 이 브랜드를 보유한 상장회사를 아래 표로 정. 각 브랜드별로 프라임데이 베스트셀러 등극, 미국 시장 내 매출 급증, 대표 상품도 함께 매칭했습니다.
브랜드명 | 대표제품 | 소속 상장사 (종목명) |
특징 및 프라임데이 성과 |
메디큐브(Medicube) | 제로 모공 패드, 콜라겐 젤리크림 | 에이피알(APR) | 이번 프라임데이 전체 뷰티·퍼스널케어 부문 판매 1위, 프라임데이 4일간 300억 원 매출 돌파 |
라네즈(Laneige) | 립 슬리핑 마스크, 워터뱅크 에센스 | 아모레퍼시픽(Amorepacific) | 뷰티 카테고리 2~3위, 립 슬리핑 마스크 전량 매진. 글로벌 뷰티 트렌드 리더 |
이니스프리(Innisfree) | 그린티 씨드 세럼 등 | 아모레퍼시픽(Amorepacific) | 자연 성분, 해외 인기 지속. 프라임데이 동안 뷰티 부문 인기 상품에 포함 |
코스알엑스(COSRX) | 어드밴스드 스네일 96 뮤신 파워 에센스 | 코스알엑스 | 아마존 전체 뷰티 부문 1위(K-뷰티), TikTok·미국 핵심 인기 |
에스트라(Aestura) | 아토베리어365 크림, 시카 리페어 크림 | 아모레퍼시픽(Amorepacific) | 페이셜 크림·모이스처라이저 부문 2위, 더마 화장품·민감성 강점 |
바이오던스(Biodance) | 바이오 콜라겐 리얼 딥 마스크 | SK바이오랜드 등(비상장) | 미국 아마존 마스크 부문 베스트셀러, “바이오 마스크” 신흥 K-뷰티 대표주자 |
아누아(Anua) | 어성초 포어 컨트롤 클렌징 오일 | 코스메카코리아(공식 인수) | 미국 아마존 클렌징 부문 베스트셀러, 트러블성·민감성 특화 |
뷰티오브조선(Beauty of Joseon) | 리리프 선, 다이너스티 크림 | 미미박스(비상장) | 프라임데이 선케어 베스트셀러, K-한방 융합 신흥 강자 |
브이티코스메틱(VT Cosmetics) | 시카 데일리 수딩 마스크 | 지디케이(GDK) (코스닥) |
미국·일본 아마존서 마스크 부문 베스트셀러, 매출 20배 급등 |
토리든(Torriden) | 배리어 릴리프 크림 | 비상장(에프앤코스메틱) | 민감피부·진정, 미국 프라임데이 순위 급상승. 글로벌 시장 공략 가속 |
요약 및 특징
- 메디큐브(에이피알): 디바이스+화장품 융합(B2C), 프라임데이 뷰티 부문 최다 판매·매출 신기록.
- 아모레퍼시픽 주요 브랜드(라네즈, 이니스프리, 에스트라): 글로벌 포트폴리오 바탕 3개 이상 브랜드가 동시에 베스트셀러 등극.
- 코스알엑스: 스네일뮤신으로 미국 MZ세대 중심 입소문→아마존서 인기 절정.
- 바이오던스, 아누아, 뷰티오브조선 등 신흥 브랜드: 마스크·클렌징·선크림 등 틈새 카테고리에서 매출 폭발.
- 브이티코스메틱: 일본·미국 양 시장 동시 급성장, ‘시카’ 라인 부각.
이 밖에도 미샤(에이블씨엔씨), 닥터지(고려제약 계열), 미즈온, 티르티르 등도 프라임데이 주요 히트 브랜드로 언급되고 있습니다. 시장 내 레퍼런스 기반(아마존 판매 랭킹, 보도자료)으로 정리한 만큼, 실제 투자 전에는 각 사의 실적 공시, 아마존 공식 리포트 등을 참조해 점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