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_주린이_채린이 성장기

주린이_증권사리포트 공부_자동차_중소 부품사들 탐방_관세영향 시작 (하나투자증권. 25.7.22)

부자되는똑순이 2025. 7. 29. 06:00

일본이 우리보다 먼저 미국과 관세 협상을 했고 그 결과에 대한 논란이 많다.

(네임드 전문가들도 판단이 극과 극이라,,, 뭐가 맞는지 모르겠음 ㅎㅎ)

일본 입장에서 가장 위너는 자동차 산업, 그것도 도요타임은 모두 인정하는 분위기다. 관세를 15%로 완전 선방했으니 말이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 관세 협상 일정은 일방적으로 연기 당했지만 (어이없다 이것도. 미국이면 다냐) 우리나라 자동차업종도 관세 협상 기대감이 상당히 있었다. 

SBS뉴스 이미지 발췌 (25.4월)

 

한겨레신문 25.7.24일자 기사 이미지 발췌

 

이에 맞춰 딱 타이밍 좋게 중소부품사들 탐방하고 실적 전망 등을 분석한 리포트가 있어 읽어보았다.

업체가 탐방한 기업들은 아래와 같다.

 


리포트 내용은 공통 Executive Summary 외에 각 업체들의 재무실적을 표로 나열한 것들만 있어서 데이터를 발췌하지는 않겠다.

공통 Exec. Summary 부분만 공유해본다.

  1. 산업 및 고객사들의 생산 둔화로 자동차 부품사들은 기존 물량의 저성장 예상. 판가와 환율 등 가격 요인 및 비용 요인에 대한 수익 민감도를 높게 보고 있음
  2. 원/달러 환율이 4월까지 1,430원 이상을 유지하면서 수익성에 기여했지만, 5-6월 단기로 1,350원대로 하락하면서 수출 비중이 큰 업체들 위주로 우려중
  3. 미국의 수입 자동차/부품 관세 부과를 앞두고 1분기 미국향 수출 선적을 미리 늘려 대응했지만, 5월 이후 직수출 및 CKD 수출 선적부터는 관세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함
  4. 현재로서는 현지 법인의 재고자산 매입원가 형태로 반영되고 있지만, 관련 물량이 매출화가 진행되는 3분기부터는 비용으로 인식될 전망
  5. 관련 비용 증가를 판가 인상 통해 만회하고자 노력 중이나, 아직은 관세율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고 고객들과의 협상력 발휘하기도 쉽지 않아 제한적인 수준에서만 회수될 것 예상
  6. 미국 내 공장 신설 및 증설 등 현지화를 확대하는 방법으로 관세에 대응할 수 있지만 투자비 부담과 현지공급망 구축 문제 등으로 당장은 힘들고 장기적으로 검토 가능
  7. 최근 완공된 미국 공장들은 관세 및 전기차 정책의 변화로 고객사들의 생산 정책이 변화된 영향을 받아 가동률 상승 속도가 늦어지고 있음. 더불어 현지 인플레이션으로 비용부담 증가하면서 BEP 도달 시기가 예상보다 늦어질 전망

성장성 + 수익성과 재무구조 우수 + 주주환원' 업체들 위주로 접근 추천

애널리스트가 뽑은 선호업체들은 아래와 같다.

 


마지막으로 리포트만으로는 좀 아쉬워서 Google Gemini에게 우리나라 자동차 부문 관세 협상 전망을 물어봤다. 단순 참고하자.

한미 자동차 관세 협상 전망

  • 2025년 7월 기준, 일본이 미국과 자동차 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절반 가까이 인하받는 데 성공했다. 이는 5,500억달러(약 760조원)대 대미 투자 약속을 대가로 한 것으로, 일본 내 주요 자동차 업체 주가가 일제히 10% 이상 급등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 미국은 한국과의 관세 협상에서도 자동차를 포함한 15% 관세율 도달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은 일본에 요구했던 것과 유사하게 수천억달러 수준의 대미 투자를 한국에 요구하고 있어, 협상은 일본보다 더 난항이 예상된다.
  • 한미 간에도 8월 1일까지 최종 타결이 목표이지만, 만약 일본 수준의 감세(25%→15%)가 이루어진다면 자동차 업계의 수익성은 획기적으로 개선될 가능성이 높다. 업계에서는 관세가 15%까지 낮아질 경우 한 해 2조6,000억원 이익 회복을 예상한다.

 

국내 자동차 기업의 수혜 예상·주가 상승 기대 종목

 

1. 현대자동차

  • 사업모델: 완성차 제조 및 모빌리티, 글로벌 EV(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 전장사업 등 다각화.
  • 미국 매출비중과 전기차/친환경차 글로벌 성장 주도, 투자 여력이 가장 큼.
  • 시가총액: 약 68조원(2025년 7월 기준).

2. 기아

  • 사업모델: 글로벌 완성차 2위, 친환경차 출시 확대,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중심 매출 비중 강화.
  • 미국 현지 생산 기지 강화, 영업이익률 업계 상위권.
  • 시가총액: 약 40조원(2025년 7월 기준).

3. 성우하이텍

  • 비즈니스모델: 자동차 차체, 배터리팩, 차량 경량화 부품, 자율주행용 센서 등 생산.
  • 현대자동차·기아에 독점적 부품 납품, 인기 급성장 중.
  • 시가총액: 약 10,000억원(2025년 7월 기준).
  • 특징: OEM 부품 특화, 하이브리드·연료전지 고부가가치 R&D, 미국·유럽 OEM 거래 확대.
  • 23년 영업이익 123% 이상 급증, 자동차 관세 인하 수혜 직접적.

벤더사 수혜주(참고)

  • 화신, 서연이화, 성우하이텍, 에스엘 등 주요 부품사는 현대기아 전기차 현지화에 따라 추가 매출 기대가 매우 높음.

 

주가 상승 기대 종목 선정 · 추천 이유

  • 최우선 수혜 기대 종목: 현대자동차, 성우하이텍
    • 현대차그룹(현대차·기아)은 현지 생산과 미국 시장 매출 의존도가 가장 높으며, 글로벌 친환경차 경쟁력, 미국 내 공장 증설, 신모델 출시 효과가 관세 인하와 겹칠 경우 실적·주가 모멘텀이 가장 크다.
    • 부품업체 중 성우하이텍은 전기차/자율주행/GV70·EV9 등 신차 라인 차체 부품을 한국·미국·유럽에 동시 공급 중이고, 글로벌 OEM 라인 확대 효과가 관세 인하 시 즉각적 실적으로 연결됨. 현대차 수혜가 직접적이고, 시총이 적당해 '레버리지 효과' 기대가 크다.
  • 중소 부품주 가운데 부품·차체·경량화·자율주행 연관주들은 관세 협상과 연계된 미주 거래 비중 증가 효과가 기대되나, 대형주(현대차·기아) 대비 변동성과 위험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