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신잡_소소한 정보들/알쓸신잡_알뜰살뜰
금주 구글 인기키워드_민생회복지원금 어느 카드로 신청하는게 좋아?
부자되는똑순이
2025. 7. 23. 06:00
포퓰리즘의 극치, 상당히 불만 있었던 민생회복지원금이 이번주에 나오기 시작한다. 아니 신청을 하라고 한다.
그래도 주는 것이니 굳이 마다할 이유없어서 신청은 해야겠는데... 싶었는데
주말부터 구글 검색어 상위권 (비즈니스 /금융)에 카드사가 돌아가면서 나온게 그 이유였다. 아마도 어느 카드사가 더 좋은지 비교를 하거나 카드사별 마케팅 해서 Market Buzz가 늘어난 것이리라.
먼저 어떻게 신청하는지/ 기간 / 방법부터 짚고 가자.
행안부에서 신청방법에 대해 일목 요연하게 포스터로 정리를 잘 해놓았다.
1차는 15만원이어서 카드사에 얼마나 도움이 될까 싶긴 한데... 어쨌든 그래도 어디가 좋을지 차이가 있는지 퀵하게 비교해보자.
그럼 이제 카드사별로 비교해볼까?
카드사별 추가 이벤트 혜택 비교
카드사 | 주요 이벤트/혜택 | 이벤트 참여 방법 | 비고 |
KB국민카드 | 지역 소상공인 결제 5% 캐시백(최대 2만 원) | KB Pay 앱 이벤트 등록 | 신규 카드 발급 시 추가 캐시백 |
신한카드 | 30만 원 이상 사용 시 3만 포인트 적립 | 신한페이판 앱 | 포인트 지급, 현금 전환 여부 확인 |
삼성카드 | 월 20만 원 이상 사용 시 1.5만 원 캐시백, 스타벅스 쿠폰(선착순) | 삼성카드 앱 | 선착순, 쿠폰 중복 증정 가능 |
현대카드 | 지정 업종 M포인트 10배 적립 | 현대카드 앱 | 포인트 전환율 필수 확인 |
우리카드 | 10만 원 이상 사용 시 1만 원 캐시백 | 우리WON카드 앱 | 일부 지자체 연계 추가 이벤트 |
농협카드 | 지역상품권 연계 3% 추가 포인트 적립 | NH올원페이 | 농촌·지방 거주자 유리 |
하나카드 | 제로페이·전통시장 연계 최대 2만 포인트 적립 | 하나카드 앱 | 제로페이 연동 필수 |
분석 및 우위 카드사
- 최대 캐시백/포인트 기준 유리:
- 신한카드(30만 원 이상 결제: 3만 포인트)
- 삼성카드(20만 원 이상 결제: 1.5만 원 캐시백, 선착순 스타벅스 쿠폰)
- 소상공인·전통시장 결제 많은 경우:
- KB국민카드(5% 캐시백), 농협/하나카드(시장 특화, 추가 포인트)
- 전국민 혜택 단순·확실:
- 우리카드(10만 원 결제: 1만 원 캐시백, 진입장벽 낮음)
유리한 카드사 추천
- 30만 원 일시불 결제/집중 소비:
→ 신한카드: 3만 포인트로 타사 대비 단일 최대 혜택 - 20만 원대 사용+스타벅스 쿠폰 중복 공략:
→ 삼성카드 - 전통시장·로컬매장, 소상공인 결제 다수:
→ KB국민카드, 농협카드, 하나카드 - 간편/보편적 혜택, 10만 원 결제도 충분:
→ 우리카드
[정리] 신한카드의 포인트 혜택이 금액 대비 가장 크면서, KB국민/농협/하나카드는 소상공인·전통시장 사용처에 강점이 있고, 삼성카드는 스타벅스 쿠폰 등 세컨드 혜택이 있다. 자신의 소비 패턴(사용처, 결제액)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최적이다.
참고 사항
- 이벤트 참여는 각 카드사 앱/웹에서 사전 등록 필수, 미등록 시 혜택 미지급
- 신규 발급·패밀리카드 동시 신청 통한 중복 공략 가능(명의별 1회 한정)
- 사용처 제한 및 소멸 시한(11월30일) 유의 필요
간편결제·앱 서비스 추가활용
- 네이버페이 머니카드: 0.3% 포인트 자동 적립, 쿠폰 충전 후 네이버페이 연동 시 추가 혜택
- 토스·카카오페이: 즉시 할인·랜덤 포인트 등 연계 이벤트 진행(앱 내 공지 확인 필수)
- 지역사랑상품권과 비교: 지역화폐는 통상 5~10% 캐시백 있으나, 카드사별 프로모션·편의성 측면에서 신용카드가 더 유리한 경우 많음
추천 결론 및 활용 팁
- 본인 월 소비 패턴(사용처, 예상 금액)에 맞추어 카드사 선정
- 부부/가족이 각각 다른 카드사로 분산 신청하면 집합적 최대치 활용 가능
- 신용카드 신규 발급 이벤트(캐시백, 추가상품권 등)와 병행하면 실질 혜택 극대화 가능
반드시 확인할 점
- 반드시 카드사 내 이벤트 등록 필요(신청만으론 혜택 미지급)
- 지원금 사용 시한: 2025년 11월 30일까지. 미사용 시 금액 자동 소멸
- 대상 가맹점 제한, 일부 업종 사용 불가
사용 불가 가맹점(오프라인·온라인)
구분 | 주요 예시 | 비고 |
대형마트 |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 |
백화점 | 롯데, 현대, 신세계, 갤러리아 등 | |
기업형 슈퍼마켓(SSM) | 이마트에브리데이, 노브랜드, 롯데슈퍼, GS더프레시, 킴스클럽, 홈플러스익스프레스 등 | |
대형 전자제품점 | 하이마트, 전자랜드, 삼성디지털프라자, LG베스트샵, 일렉트로마트 등 | |
대형 외국계 매장 | 이케아, 샤넬, 애플스토어 등 | |
대기업 계열 커피전문점 | 스타벅스(100% 직영), 폴바셋 등 직영점 모두 | 가맹점은 가능(직영만 불가) |
온라인 쇼핑/전자상거래 | 네이버쇼핑, 쿠팡, G마켓, 배달앱 등 온라인몰 및 앱 결제 모두 | 단, 가맹점별 오프라인 대면결제는 가능 |
면세점 | 전매장 불가 | |
유흥/사행성 업종 | 유흥주점, 카지노, 복권방 등 | |
환금성 업종 | 상품권 판매점, 귀금속 판매점 등 | |
보험/공공요금/교통 | 보험료, 국민연금/건강보험, 조세, 통신·교통요금 등 자동이체 포함 |
- 프랜차이즈 직영점 대부분 사용 불가, 편의점·다이소·올리브영은 일부 가맹점만 사용 가능
- 병원·약국·미용실 등 동네 소상공인 사업자는 연매출 30억 이하만 해당, 대학병원/대형병원 불가
3. 추가 설명
- 지역 한정: 주소지(광역시=시 전역, 도=시·군 단위) 내 소상공인 가맹점에서만 사용
- 편의점 직영/가맹 구분: 직영점은 불가, 가맹점은 가능. 실제 편의점 대부분은 가맹점.
- 배달앱 등 온라인 결제: 사실상 전면 불가. 단, 배달 대면 방문결제(가맹점 단말기)는 가능
마지막 주의! 제일 중요
신청할때 사칭하는 사기 사이트도 많다고 하니 주의!!!
행정안전부 FAQ 링크 첨부하니 참고하세요~
https://www.mois.go.kr/frt/sub/a06/b07/livelihoodCoupon_3/screen.do
행정안전부> 업무안내> 지방재정경제실> 민생회복 소비쿠폰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www.moi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