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_주린이_채린이 성장기

중국의 과학기술 _로봇기술_미국과 비교하면 어때?

부자되는똑순이 2025. 7. 14. 18:00

KBS 다큐_인재전쟁을 보고나서 충격이 좀 오래간다. 

안 그래도 로봇이랑 AI 분야를 주린이로서 조금씩이라도 공부를 해보려던 참에 중국과 미국 기술 비교에서 출발해보겠다.

KBS 다큐에서 중국기업 유니트리의 휴머노이드 로봇이 사람과 똑같이 (아니 사람보다 더 유연하게) 춤을 추고 계속 복싱을 하면서 쓰러져도 계속 다시 일어나고 복싱하던 모습이 너무 인상적이었다.

중국 기업 유니트리 G1 2족 로봇 이미지 발췌- NEOEARLY by 라디오키즈 출처

 

로봇 기술과 주요 기업을 미국과 중국 비교를 중심으로 기초부터 간단히 살펴보자.


2025년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 미국 vs 중국 비교

1.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 개발 트렌드

 

미국

  • AI 기반 ‘물리 AI’ 혁명: 생성형 AI, 대규모 언어모델(LLM), 강화학습 등 첨단 AI 기술이 로봇의 자율성, 환경 적응성, 인간과의 상호작용 능력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리고 있음.
  • 대량생산 및 상용화 가속: 테슬라, Figure AI 등은 수천~수만 대 단위의 대량생산 체계를 구축, 실제 공장·물류 현장에 투입 중.
  • 플랫폼 생태계 중심: 엔비디아의 ‘Cosmos’(AI 시뮬레이션/학습 플랫폼), 오픈소스 기반 협력 확대.
  • 다목적·범용성 지향: 제조, 물류, 서비스, 의료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범용 휴머노이드 개발에 집중.

중국

  • 정부 주도 대규모 투자: ‘중국제조 2035’ 등 정책적 지원으로 R&D, 양산, 공급망 구축을 빠르게 추진.
  • 가격경쟁력+국산화: 핵심 부품(액추에이터, 센서 등) 국산화 및 대량생산을 통한 저비용 구조, 빠른 양산 체계.
  • 산업 현장 실전 적용: 물류, 제조, 가사, 서비스 등 실제 현장에 투입되는 사례가 급증.
  • 특허 및 기술 표준화: 세계 최다 휴머노이드 특허 출원, 핵심 기술의 자립화 및 표준화 주도.

 

2. 미래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 휴머노이드 기술

  • AI 기반 자율 학습 및 제어: 강화학습, LLM, 멀티모달 인지, 실시간 환경 적응 등.
  • 고성능 액추에이터 및 센서: 인간과 유사한 운동성, 미세 제어, 힘-위치 혼합제어.
  • 오픈 플랫폼 및 시뮬레이션: 대규모 데이터 기반 시뮬레이션, 오픈소스 생태계.
  • 저비용 대량생산 기술: 부품 표준화, 모듈화, 생산 자동화.
  • 산업 현장 실전 적용성: 실제 제조·물류·서비스 현장 투입 및 피드백 순환.

 

3. 미국·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선도 기업 TOP5 상세 비교

미국


국가 기업 대표모델/기술 주요특징 / 핵심 기술 핵심기술자/ 특허
미국 Tesla Optimus AI+로봇 통합, 대량생산, 공장 실전 적용, 범용성 Elon Musk(CEO), AI+로보틱스 특허 다수
  NVIDIA GR00T, Cosmos AI 시뮬레이션, LLM, 물리 AI, 협력 생태계 구축 Jensen Huang(CEO), Isaac Sim 등 AI/로봇 특허
  Boston
Dynamics
Atlas 고난도 운동성, 균형제어, 인간형 보행·점프 Marc Raibert(창립자), 다관절 제어 특허
  Figure AI Figure 01/02 범용 휴머노이드, BMW 등 실전 납품, 대량 양산 Brett Adcock(CEO), 휴머노이드 제어 특허
  Agility
Robotics
Digit 물류·서비스 특화, 아마존 등과 실전 협력 Damion Shelton(CEO), 이족보행 특허
 

중국 

기업명 대표모델 기술주요 특징/ 핵심기술 핵심 기술자 /특허
Unitree
Robotics
G1 저비용·고성능, 오픈소스 플랫폼, 빠른 양산 Wang Xingxing(CEO), 힘-위치 제어 특허
UBTECH
Robotics
Walker 2000여 특허, 풀스택 기술, 서비스·가정용 Zhou Jian(CEO), 세계 최다 휴머노이드 특허
BYD Boyoboard 가사·서비스용, 대량생산, 1만 달러대 Wang Chuanfu(CEO), 로봇+전기차 특허
Agibot TianGong Ultra 하프마라톤 우승, 고난도 운동성, 스포츠·산업 핵심 연구진 다수, 운동제어 특허
Xiaomi CyberOne 자체 AI OS, 대중시장 겨냥,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 Lei Jun(CEO), AI+로봇 통합 특허

 

*참고: 위 표에서 정리한 기업 선정 (정렬) 기준

  • 기술 혁신성: AI·로봇 통합, 자율성, 운동성 등 핵심 기술의 선도 여부
  • 시장 영향력: 실제 산업 현장(공장, 물류, 서비스 등) 적용 및 대량생산 실적
  • 글로벌 주목도: 최근 1~2년간 글로벌 미디어·산업 리포트에서의 언급 빈도, 투자·협력 사례
  • 특허 및 연구개발 성과: 핵심 특허 보유 수, 기술자·연구진의 업계 영향력

 

4. 기술·특허·핵심 인물 상세 분석

미국

  • Tesla
    • Optimus는 테슬라 공장에 실제 투입, AI 기반 자율작업/비전 인식/강화학습 적용.
    • Elon Musk: AI+로보틱스 통합 비전, 제조 자동화 특허.
  • NVIDIA
    • GR00T, Cosmos: 2000만 시간 인간 행동 데이터, 대규모 AI 시뮬레이션, 오픈 생태계.
    • Jensen Huang: AI/로봇 시뮬레이션, Isaac Sim 등 다수 특허.
  • Boston Dynamics
    • Atlas: 고난도 균형·점프·보행, 다관절·실시간 제어, 현대차와 협력.
    • Marc Raibert: 로봇공학 권위자, 다관절 제어 특허.
  • Figure AI
    • Figure 01/02: 범용 휴머노이드, BMW 공장 실전 납품, BotQ 양산체계.
    • Brett Adcock: AI+로봇 통합, 범용 제어 특허.
  • Agility Robotics
    • Digit: 물류·서비스 특화, 아마존 등과 현장 테스트.
    • Damion Shelton: 이족보행, 실전 적용 특허.

중국 

  • Unitree Robotics
    • G1: 2000만원대, 오픈소스·힘-위치 혼합제어, 빠른 양산.
    • Wang Xingxing: 힘-위치 제어, 저비용 양산 특허.
  • UBTECH Robotics
    • Walker: 2100여 AI/로봇 특허, 풀스택 기술, 서비스·가정용 확장.
    • Zhou Jian: 세계 최다 휴머노이드 특허 보유.
  • BYD
    • Boyoboard: 가사·서비스용, 전기차 기술 융합, 대량생산.
    • Wang Chuanfu: 로봇+전기차 융합 특허.
  • Agibot
    • TianGong Ultra: 하프마라톤 우승, 고난도 운동성, 스포츠·산업용.
    • 핵심 연구진: 운동제어, 실전 적용 특허.
  • Xiaomi
    • CyberOne: 자체 AI OS, 대중시장 겨냥,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
    • Lei Jun: AI+로봇 통합 특허.

 

5. 양국 기술 경쟁력, 시장 영향, 미래 전망

  • 미국은 AI 기반 자율성·범용성, 대규모 플랫폼·생태계, 대량생산 체계에서 강점. 실제 산업 현장(공장, 물류 등) 적용이 빠름.
  • 중국은 가격경쟁력, 부품 국산화, 빠른 양산, 정부 주도 대규모 투자, 특허 및 표준화에서 우위. 실제 현장 적용과 데이터 축적 속도가 빠름.
  • 시장 영향: AI+로봇 통합, 대량생산·저비용화, 산업 현장 실전 적용, 오픈 생태계 구축이 미래 시장 판도를 좌우.
  • 핵심특허: 미국은 AI+로봇 통합, 자율제어, 시뮬레이션 특허 중심. Vs. 중국은 힘-위치 제어, 부품 국산화, 대량생산, 서비스로봇 특허 중심.

 


미국 vs 중국 휴머노이드·AI 로봇 핵심 특허 출원 현황 (2025년 기준)

 

1.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 특허 출원 현황


구분 최근 5년간
출원 건수
누적 출원
건수
주요 특징 및 동향
중국 5,688건 6,618건 세계 1위, 정부 주도 R&D, 대량 생산·상용화 가속, UBTECH 등 선도기업 다수
미국 1,483건 12,476건 기술적 완성도·상용화 선도, 테슬라·엔비디아·보스턴다이내믹스 등 혁신기업 중심
일본 1,195건 6,058건 전통 강국, 산업용·정밀로봇 중심
한국 368건 - 추격 단계, 연구개발 집중
 
  • 중국은 최근 5년간 휴머노이드 로봇 특허 출원에서 압도적 1위, 누적 기준으로도 세계 1위. UBTECH, Unitree 등 기업이 다수 특허 보유.
  • 미국은 누적 특허에서는 1위(1만2,476건)이나, 최근 5년간 신규 출원은 중국에 크게 뒤처짐. 테슬라, 엔비디아, 보스턴다이내믹스 등 혁신기업 중심으로 특허 집중.

 

2. AI(인공지능) 분야 특허 출원 현황

구분 2014~2023년 생성형 AI 출원 전체 AI 특허 점유율
(2023)
특징 및 동향
중국 38,000건 약 70% 글로벌 1위, 표준화·산업화 주도, 텐센트·바이두·알리바바 등 빅테크 주도
미국 6,276건 약 14% 상위 인용·영향력 특허 중심, 오픈AI·구글·MS 등 혁신기업 주도
 
  • 중국은 생성형 AI 특허에서 미국 대비 6배 이상, 전체 AI 특허의 70% 이상을 보유하며 글로벌 표준화와 산업 지배력 강화 중.
  • 미국은 특허 수는 적지만, 상위 인용·영향력 있는 특허, 오픈소스 생태계, 실제 상용화·혁신력에서 강점.

 

3. 주요 기업별 특허 현황 및 특징

  • 중국
    • UBTECH: 휴머노이드 유효 특허 866건(글로벌 1위)
    • 텐센트, 바이두, 알리바바, 바이트댄스 등 빅테크가 AI·로봇 특허 다수 보유
    • 정부 주도 대규모 투자, 표준화 전략, 오픈소스 LLM 특허 확장
  • 미국
    • 테슬라, 엔비디아, 보스턴다이내믹스, 오픈AI, 구글 등 혁신기업 중심
    • AI+로봇 통합, 자율제어, 시뮬레이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융합 특허 강점

 

4. 기술·시장적 시사점

  • 중국은 특허량, 표준화, 가격경쟁력, 대량생산·상용화 주도권에서 우위
  • 미국은 상용화, 혁신성, 영향력 있는 특허, 오픈 생태계에서 강점
  • 글로벌 휴머노이드·AI 로봇 시장은 특허 경쟁과 함께 실제 산업 적용, 오픈소스 생태계, 표준화 주도권 확보가 핵심 경쟁 포인트로 부상

로봇 기술에서 우리나라 존재감은 전혀 없어 보인다....아쉽다. 다 잘 할 수는 없지만....

아직 경쟁력 있는 분야는 반도체, 조선, 방위산업, 원전, 화장품, K-POP 정도인가?